Servlet

Web

[FreeMarker] 프리마커란?

프리마커란? 정확히 말하자면 Apache FreeMarker로 자바에서 사용되는 템플릿 엔진, 자바 라이브러리이다. 템플릿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텍스트 출력을 생성한다. 프리마커의 확장자는 ftl이다. FreeMarker Template File의 줄임말이다. 프리마커 문법은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해볼 수 있다. Apache FreeMarker Manual freemarker.apache.org 스프링, 스프링 부트로 프로젝트 진행 시 템플릿 엔진 대신 JSP를 사용할 수 있지만, 더 이상 스프링 부트에서 JSP는 추천되지 않는다. Java EE에 종속적이라는 점이 큰 단점으로 다가오기 때문이다. 예로 인텔리제이 IDE에서는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에서 JSP를 사용하는 경우 패키징을 war로 선택해야 한다. ..

Web/게시판 만들기

[JSP] 게시판 만들기 07 - 글 삭제 구현

글 삭제 구현 지금까지 만든 게시판은 보안 요소가 전혀 없는 게시판이었습니다. 그래서 글 삭제 부분도 보안 요소는 없습니다(?) 글 삭제는 DELETE 쿼리만 실행하면 되기 때문에 엄청나게 간단합니다. Controller case "/deleteOk.do": command = new DeleteCommand(); command.execute(request, response); viewPage = "deleteOk.jsp"; break; } 삭제 기능은 write나 update 같은 입력 폼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deleteOk.do 만 사용합니다. DeleteCommand package com.command; import java.sql.SQLException; import javax.servlet.htt..

Web/게시판 만들기

[JSP] 게시판 만들기 06 - 글 수정 구현

글 수정 구현 하나둘씩 기능을 만들어갈수록 새로 구현하는 기능들이 처음부터 끝까지 다 다른 내용이 아니라, 기존에 구현한 내용들과 어느 정도 유사성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수정 시 필요한 jsp 파일들은 view.jsp와 write.jsp, writeOk.jsp를 섞어놓은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BookController case "/update.do": command = new SelectCommand(); command.execute(request, response); viewPage = "update.jsp"; break; case "/updateOk.do": command = new UpdateCommand(); command.execute(request, respons..

Web/게시판 만들기

[JSP] 게시판 만들기 05 - 글 읽기와 조회수 증가 구현

글 읽기와 조회수 증가 구현 list.do에 있는 목록 중 하나를 클릭 시 해당 글을 상세 보기 하는 기능을 만듭니다. 이때 글을 클릭해서 볼 때마다 조회수도 1 증가시킵니다. 조회수 증가라함은 거창하게 보일 수도 있지만 사실 UPDATE문 하나만 사용하면 됩니다. 😏 view를 위한 SELECT문과 조회수 증가를 위한 UPDATE 문 각각 한 개씩 필요하게 됩니다. Controller case "/view.do": command = new ViewCommand(); command.execute(request, response); viewPage = "view.jsp"; break; ViewCommand package com.command; import java.sql.SQLException; impor..

Web/게시판 만들기

[JSP] 게시판 만들기 03 - 전체 글 목록 구현

Controller 작성 Controller 작성은 게시판의 기능을 모두 만들어야 하므로 할 일이 많은 부분입니다. 우선 만들어볼 게시판 기본 기능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전체 도서 목록 보기 (== 전체 글 목록 보기) 2. 선택한 글 한 개 읽기 (글 상세 보기) 3. 글 작성 4. 글 수정 5. 글 삭제 전체 도서 목록은 list.do로 요청받을 것이고, 글 한 개 읽기는 view.do로 요청받습니다. 글 작성은 write.do로 요청받는데, 글을 작성하는 페이지와 작성한 글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해 넘어가는 페이지가 필요하므로 writeOk.do도 생성합니다. 글 수정 update도 write와 유사합니다. 글 삭제는 글 작성, 글 수정과는 달리 따로 데이터를 입력하는 폼이 필요하지 않으므..

Web/게시판 만들기

[JSP] 게시판 만들기 02 - DTO와 DAO, Controller 생성

MVC2 패턴을 사용할 것이므로 우선 DTO와 DAO를 생성해주겠습니다. MVC2 패턴은 JSP에서 모든 것을 하는 MVC1 패턴과는 달리 Servlet에서 웹 브라우저가 요청하는 것을 처리하므로 유지보수가 쉽고, 코드 가독성도 좋습니다. DTO와 DAO는 MVC에서 M(Model) 부분에 해당합니다. 프로그램의 데이터 부분에 속합니다. DTO (Data Transfer Object) 생성 DAO 등과 연동하여 데이터를 실어나르는 객체로, 필요한 객체 (entity)만큼 작성합니다. VO(Volumne Object)라고도 하는데, VO는 read only/immutable 속성을 가집니다. 웹 개발 시 클래스 필드명, DB 필드명, form의 name명은 일치시켜 주어야 편리합니다. src/main/ja..

Programing Language/Java

[Java] 서블릿 (Servlet)

서블릿(Servlet) 서버 쪽에서 실행되면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동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바 클래스 독자적으로 실행되지 못하고 톰캣과 같은 JSP/Servlet 컨테이너에서 실행된다. 스레드 방식으로 실행되고, 컨테이너 종류에 상관없이 실행되므로 플랫폼 독립적이다. 멀티 스레드 방식이기 때문에 여러 사용자에 의해 호출될 수 있다. 서블릿의 인스턴스는 재활용 가능하므로 한 번만 생성되면 된다. 서블릿 동작 과정 클라이언트가 웹 서버에 요청을 한다. 웹 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 받은 요청을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AS)에 위임하고,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요청에 해당하는 서블릿을 실행한다. 서블릿은 요청에 대한 기능을 수행한 후 결과를 반환(서블릿 →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 웹 서버)하여 클라이언..

밈아
'Servlet'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