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에서 타임 리프 변수 사용하기 타임 리프를 사용하여 html 파일 작성 시 일반적인 이와 같이 th:inline을 명시해준다. 이후 자바 스크립트 코드는 모두 /**/로 묶어주어야 한다. 따라서 첫 줄에 /**/를 작성해주었다. 또한 타임 리프 변수인 ${paging.page}도 /*[[]]*/로 묶어주어야 하기 때문에 /*[[ ${paging.page} ]]*/라고 작성하였다.
2개월 동안 HTML부터 Spring까지 다시 복습하는 시간을 가져본다 ! 근데 어제는 정리를 안 했기 때문에 TIL가 아닌 YIL (Yesterday I Learned) HTML XML 구조 언어로 인터넷에서 기존에 사용하던 HTML의 한계를 극복하고 SGML(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의 복잡함을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DOCTYPE (문서형 선언 DTD) 문서형 선언 Document Type Definition 줄여서 DTD이다. (오 한글로 치면 ㅇㅅㅇ) !DOCTYPE을 사용해 브라우저가 현재 HTML5 또는 HTML4 또는 XHTML로 작업할 거라는 걸 알려준다. 브라우저가 해당 문서는 웹 버전이라는 것을 인식시키게 하므로 필수적으로 넣어야 한다. ..
과 의 차이 / 하나의 차이는 구조언어의 차이로 인해 발생한 것이다. W3C에서는 HTML4를 만들고 이후 HTML 4.01을 만든 뒤 HTML5가 아닌 XHTML 1.0을 만들었다. 이때 XHTML 1.0은 HTML 4.01을 XHTML로 다시 규정한 것이다. HTML4에서는 br 태그를 로 사용하였지만 XHTML은 로 사용한다. img 태그와 input 태그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과 의 차이는 어떤 구조 언어에서 사용되냐의 차이가 있을 뿐 의미와 기능은 동일하다. HTML4에서는 무조건 로 사용하여야 하지만 XHTML에서는 무조건 로 사용하여야 한다. HTML5는 두 가지 모두 사용 가능하다.
각각의 두 태그들의 차이는 시맨틱 웹과 연관있다. 태그와 태그 모두 해당 태그에 감싸져있는 부분을 진하게 표시해준다. 태그와 태그는 해당 태그에 감싸져있는 부분을 italic체로 기울여지게 한다. 보통 네 가지 모두 태그 강조하고 싶은 부분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한다. 📝 예제 코드 b태그와 strong태그의 차이점 i태그와 em태그의 차이점 📄 결과 겉보기에는 두 태그들의 차이가 없어보인다. 그러나 의미론적으로 차이가 존재한다. 태그는 단순히 글자를 굵게 보이게하는 것에 그친다. 그러나 태그는 글자를 굵게 하는데에 그치지 않고, 태그로 감싸진 내용들이 중요한 내용이라는 것을 브라우저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태그와 태그의 차이도 마찬가지이다. 태그와 태그는 시맨틱 요소로써 의미를 가지게 된다. 시맨틱 ..
시맨틱 태그 HTML5에서는 시맨팁 웹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시맨틱 태그를 사용하여 웹 브라우저가 웹 문서를 효율적으로 읽게할 수 있다. 시맨틱 웹이란 검색 엔진 같은 프로그램이 정보를 분석하고, 자료를 검색하거나 처리해서 제공하는 지능형 웹이다. 컴퓨터 프로그램이 코드를 읽고 의미를 인식할 수 있다. 머리말 영역 메뉴 영역 동영상, 사진 등의 멀티미디어를 담는 영역 주로 메인 페이지의 이미지 슬라이더나 인터랙티브한 컨텐츠 영역을 지정한다. 본문으로써 컨텐츠를 담는 영역 메인 페이지뿐만 아닌 서브 페이지에도 중요한 영역을 지정할 때 사용하기 좋다. 본문과의 연관성이 적은 외부 영역 광고나 바로 가기를 지정할 때 사용할 수 있다. 특정 영역을 그룹화 글자가 많이 들어가는 부분으로, 기사나 개별 컨텐츠를 담..
head 태그 내에서는 웹 문서에 필요한 외부 파일과 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 meta 태그는 웹 페이지에 추가로 전달할 정보를 담을 수 있다. charset 웹 문서의 인코딩 방식을 의미한다. UTF-8은 세계 표준 인코딩 방식으로 한글이 깨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해당 값으로 설정해주는 것이 좋다. 최신 브라우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