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디렉터리에 바로 clone 하기 이미 프로젝트가 생성되어있는 디렉터리에서 $ git clone 명령어를 사용하면, 해당 디렉터리 내에 또 다른 디렉터리-원격 저장소의 깃 프로젝트명으로 되어있는-가 생성된다. 진행 중인 프로젝트를 바로 github에 올리고 싶었다. 따라서 현재 디렉터리에 .git 파일이 바로 생성되어야 했다. 어려운 내용은 아니지만 간단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용이한 정보라 생각해 따로 정리했다. 그리고 필자는 빈 폴더에 바로 git 연동부터 안 하고 프로젝트 생성 먼저 하기 때문에 이 지식을 많이 사용하게 되었다... 방법 1 아래 두 가지 명령어 중 한 개를 사용하여 폴더 내에 바로 .git 파일을 만들 수 있다고 하는데, 나의 Git bash 창에서는 두 명령어 모두 안된다는 ..
기본 브랜치를 master에서 main으로 변경하기 Git bash에서 git 로컬 저장소 생성(초기화)($ git init) 시 기본 브랜치가 master로 되어있다. 현재 Github와 Gitlab에서는 main을 기본 브랜치로 하였기 때문에 github 원격 저장소와 로컬 저장소 연결 시, checkout 명령어를 이용하여 사용하는 브랜치를 한 번 바꿔주어야 한다. Github 설정에서 기본 브랜치를 main에서 master로 변경하는 방법은 아래 블로그를 참고하면 된다. 왜 master에서 main으로 변경되었는지에 대한 간략한 이야기도 적혀있는데, 이런 이유 때문이었을 줄은 생각도 못했다. [Github] 기본 브랜치 변경 오랜만에 깃헙에 레포(repository)를 생성했다.그리고 이전과 같이..
이클립스에서 프로젝트와 깃허브 연동하기 이클립스에서 프로젝트와 깃허브를 바로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가끔 버그가 걸려 commit 할 수 있는 파일들이 안 보이는 등의 이슈가 있긴 하지만 이는 새로고침만 하면 해결되는 부분이라서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리포지토리(Repository) 생성 깃허브에서 리포지토리를 생성합니다. 프로젝트 공유 깃허브에 올릴 프로젝트를 오른쪽 클릭한 뒤 Team > Share Project... 를 클릭합니다. Use or create repository in parent folder of project를 클릭한 뒤 아래의 Create Repository를 클릭하면 해당 프로젝트에 바로 깃 저장소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깃허브와 프로젝트 연동 Git Persp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