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리스트 관련 함수 .index(value) list 안에 value 값이 있으면 해당 value 값의 index를 반환한다. 만약 찾는 value 값이 여러 개 있는 경우 가장 처음에 발견한 데이터의 index 값을 반환한다. 찾는 value 값이 없다면 ValueError가 발생한다. .remove(value) 특정 value 값을 가진 원소를 삭제한다. 같은 value가 여러 개 있다면 첫 번째로 찾은 원소만 삭제한다. 찾는 value 값이 없다면 ValueError가 발생한다. .pop() list 맨 뒤에 위치한 원소를 반환하고, 해당 값을 list에서 제거한다. 매개변수를 넣어 해당 index의 원소를 pop 할 수도 있다. .sort() list 원소들을 정렬하는 함수이다. 기본으로는 ..
1차원 list index를 하나만 사용하는 리스트이다. 리스트 내에 들어가는 데이터 타입은 어떠한 타입도 가능하다. list의 원소가 list인 경우 이를 다차원 리스트라고 말한다. 다차원 list list index를 여러 개 사용할 수 있다. 2차원 list data를 만들었다. data list의 길이는 3이다. [1, 2, 3] 1개, [10, 20, 30] 1개, [40, 50, 60] 1개 해서 총 3인 것이다. 인덱스 하나로만 접근하는 경우 위와 같이 리스트 내의 리스트가 출력된다. 리스트 내의 리스트의 원소를 출력하고 싶은 경우 [][]로 접근해야 한다. 다차원 리스트에서 각각의 원소들의 length는 다를 수 있다. 또한 꼭 다차원 list라 해서 list만 들어가야 하는 게 아닌, 다..
파이썬의 집합 데이터 타입 파이썬에는 여러 개의 데이터를 담는 집합 데이터 타입들이 있다. list 순서 있음. 중복 허용. mutable tuple 순서 있음. 중복 허용. immutable set 순서 없음. 중복 허용 안 함. dict 순서 없음. key와 value 쌍으로 구성. list list는 []으로 만들고, 각 데이터(원소)들은 콤마로 구분한다. 데이터(원소) 타입은 어떠한 타입도 가능하다. 비어있는 리스트(empty list)도 만들 수 있다. 인덱싱(index) list의 데이터는 순서가 존재한다. 따라서 배열처럼 index 값을 이용해 접근할 수 있다. 파이썬도 다른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index 값의 시작은 0이다. 만약 존재하지 않는 index를 참조하려고 하는 경우 Inde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