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 융합시대의 컴퓨터과학 연습문제 2장
객관식
1. 아날로그 데이터에 비해 디지털 데이터로 정보를 표현할 때 얻을 수 있는 장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e) 정보의 양이 줄어든다.
2. 십진법 수 13을 이진법으로 표현하면?
(a) 1101
3. 이진법 수 11001을 십진법으로 나타내면?
(c) 25
4. 10101100을 16진법으로 나타내면?
(e) AC
5. 십진법 수 13 및-13을 2의 보수로 표현하면?
(a) 01101, 10011
6. 분수 1⅜을 8 비트의 정규화 부동소수점으로 나타내면?
(d) 00011011
7. 멀티미디어 정보의 특성과 가장 관련성이 적은 것은?
(c) 오류가 생기기 쉽다.
8.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사운드의 영역은?
(a) 20Hz~ 20KHz
9. 어떤 사진이 크기 500×500 픽셀의 이미지로 저장되며 각 픽셀은 RGB 컬러로 표현된다면 이 이미지의 메모리 용량은(단, 이미지의 압축은 없다고 가정함)?
(d) 0.75M
10. 논리연산 1010 XOR 1111의 결과는?
(c) 0101
11. 1GB의 1000배 크기의 데이터 크기는?
(b) 1TB
12. 다음 중 홀수 패리티 방식이 적용된 비트 패턴은?
(e) 01101110
괄호 채우기
1. “0"과 “1”과 같은 가장 작은 데이터를 나타내는 단위를 ( 비트(Bit) )라 한다. 즉 하나의 비트는 “0" 또는 “1"의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비트 8개가 모여 하나의 ( 바이트(Byte) )를 구성한다.
2. 컴퓨터에서 일반적으로 정수를 표현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하는 방식은 ( 2의 보수(2’s Complement) )방식이다.
3. 실수를 정규화 부동소수로 표현하여 부호, 지수, ( 맨티사(Mantissa) )를 구할 수 있다.
4. (ASCII 코드 )는 영어 문자를 나타내기 위한 표준 코드로 미국 표준국 ANSI에서 제정한 코드이다.
5. 영어 문화권에서는 ASCII 코드를 이용하면 큰 불편이 없지만 영어를 제외한 언어에서는 새로운 코드가 요구된다. 각 언어마다 자체의 코드를 정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이렇게 하면 혼란이 발생하므로 국제적으로 모든 언어를 포함할 수 있는 국제표준 ( Unicode )가 제정되었다.
6. 사람은 최대 20KHz까지 들을 수 있으므로 ( 나이키스트 정리(Nyquist Theorem) )에 따르면 20KHz 주파수의 두 배 즉 초당 40,000회 샘플링 하여 표현한다.
7. 이미지에서 하나의 픽셀을 표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 RGB 컬러 모델(즉 Red, Green, Blue) )에서 각 컬러가 1바이트를 차지하므로 하나의 픽셀을 표현하는데 3바이트의 메모리가 요구된다.
8. ( 부울 대수 )는 1847년 수학자 부울(George Boole)에 의해 고안된 대수학으로 참/거짓(True/False)에 대한 논리자료의 연산을 처리한다. ( 부울 대수 )가 디지털 논리회로에 적용될 때의 대수학을 스위칭 대수(Switching Algebra)라고 부른다.
9. ( 게이트(Gate) )는 가장 작은 단위의 디지털 논리회로로서 부울 연산을 처리하는 장치라고 생각할 수 있다.
10. 때로는 기억소자와 같이 디지털 논리회로가 현 상태 값을 기억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현 상태를 기억하는 디지털 논리회로를 ( 플립-플롭(Flip-Flop) )이라 부른다.
11. 압축 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원래 데이터로 복원할 수 없는 경우를 ( 손실 압축 )이라 부르고 원래 데이터로 온전히 복원 시킬 수 있는 경우를 ( 비손실 압축 )이라 부른다.
12. 디지털 데이터통신에서 오류를 간단히 탐지하기 위하여 패리티 비트(Parity Bit)를 사용한다. 패리티 비트란 전송하려는 비트 패턴에 패리티 비트라는 한 비트를 추가하여 비트 패턴의 “1”의 개수가 홀수가 되도록 한다. 이것을 ( 홀수 패리티(Odd Parity) )라 부른다.
ICT 융합시대의 컴퓨터과학 연습문제 2장
객관식
1. 아날로그 데이터에 비해 디지털 데이터로 정보를 표현할 때 얻을 수 있는 장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e) 정보의 양이 줄어든다.
2. 십진법 수 13을 이진법으로 표현하면?
(a) 1101
3. 이진법 수 11001을 십진법으로 나타내면?
(c) 25
4. 10101100을 16진법으로 나타내면?
(e) AC
5. 십진법 수 13 및-13을 2의 보수로 표현하면?
(a) 01101, 10011
6. 분수 1⅜을 8 비트의 정규화 부동소수점으로 나타내면?
(d) 00011011
7. 멀티미디어 정보의 특성과 가장 관련성이 적은 것은?
(c) 오류가 생기기 쉽다.
8.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사운드의 영역은?
(a) 20Hz~ 20KHz
9. 어떤 사진이 크기 500×500 픽셀의 이미지로 저장되며 각 픽셀은 RGB 컬러로 표현된다면 이 이미지의 메모리 용량은(단, 이미지의 압축은 없다고 가정함)?
(d) 0.75M
10. 논리연산 1010 XOR 1111의 결과는?
(c) 0101
11. 1GB의 1000배 크기의 데이터 크기는?
(b) 1TB
12. 다음 중 홀수 패리티 방식이 적용된 비트 패턴은?
(e) 01101110
괄호 채우기
1. “0"과 “1”과 같은 가장 작은 데이터를 나타내는 단위를 ( 비트(Bit) )라 한다. 즉 하나의 비트는 “0" 또는 “1"의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비트 8개가 모여 하나의 ( 바이트(Byte) )를 구성한다.
2. 컴퓨터에서 일반적으로 정수를 표현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하는 방식은 ( 2의 보수(2’s Complement) )방식이다.
3. 실수를 정규화 부동소수로 표현하여 부호, 지수, ( 맨티사(Mantissa) )를 구할 수 있다.
4. (ASCII 코드 )는 영어 문자를 나타내기 위한 표준 코드로 미국 표준국 ANSI에서 제정한 코드이다.
5. 영어 문화권에서는 ASCII 코드를 이용하면 큰 불편이 없지만 영어를 제외한 언어에서는 새로운 코드가 요구된다. 각 언어마다 자체의 코드를 정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이렇게 하면 혼란이 발생하므로 국제적으로 모든 언어를 포함할 수 있는 국제표준 ( Unicode )가 제정되었다.
6. 사람은 최대 20KHz까지 들을 수 있으므로 ( 나이키스트 정리(Nyquist Theorem) )에 따르면 20KHz 주파수의 두 배 즉 초당 40,000회 샘플링 하여 표현한다.
7. 이미지에서 하나의 픽셀을 표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 RGB 컬러 모델(즉 Red, Green, Blue) )에서 각 컬러가 1바이트를 차지하므로 하나의 픽셀을 표현하는데 3바이트의 메모리가 요구된다.
8. ( 부울 대수 )는 1847년 수학자 부울(George Boole)에 의해 고안된 대수학으로 참/거짓(True/False)에 대한 논리자료의 연산을 처리한다. ( 부울 대수 )가 디지털 논리회로에 적용될 때의 대수학을 스위칭 대수(Switching Algebra)라고 부른다.
9. ( 게이트(Gate) )는 가장 작은 단위의 디지털 논리회로로서 부울 연산을 처리하는 장치라고 생각할 수 있다.
10. 때로는 기억소자와 같이 디지털 논리회로가 현 상태 값을 기억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현 상태를 기억하는 디지털 논리회로를 ( 플립-플롭(Flip-Flop) )이라 부른다.
11. 압축 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원래 데이터로 복원할 수 없는 경우를 ( 손실 압축 )이라 부르고 원래 데이터로 온전히 복원 시킬 수 있는 경우를 ( 비손실 압축 )이라 부른다.
12. 디지털 데이터통신에서 오류를 간단히 탐지하기 위하여 패리티 비트(Parity Bit)를 사용한다. 패리티 비트란 전송하려는 비트 패턴에 패리티 비트라는 한 비트를 추가하여 비트 패턴의 “1”의 개수가 홀수가 되도록 한다. 이것을 ( 홀수 패리티(Odd Parity) )라 부른다.